유전자변형생물체 (Living Modified Organism, LMO)란?
현대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하여 새롭게 조합된 유전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생물체
ㆍ“바이오안전성에 관한 카르테헤나 의정서”에서 처음으로 사용된 용어로, 살아서 생식 또는 번식이 가능함을 강조
ㆍ“현대생명공학기술”이란?
인위적으로 유전자를 재조합 하거나 유전자를 구성하는 핵산을 세포 또는 세포 내 소기관으로 직접 주입하는 기술
분류학에 의한 과(科)의 범위를 넘는 세포융합기술로서 자연상태의 생리적 증식이나 재조합이 아니고 전통적인 교배나 선발에서 사용되지 않는 기술
ㆍ“생물체”란?
유전물질을 전달하거나 복제할 수 있는 모든 생물학적 존재(생식능력이 없는 유기체, 바이러스 및 바이로이드 포함)
ㆍLMO와 GMO 차이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는 LMO 및 LMO를 이용하여 제조·가공 한 것까지 포함한 유전자변형조합체. 생식 또는 번식이 가능하지 않는 것을 포함
ㆍ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LMO법)은 유전자변형생물체를 사용 용도별로 구분하고 용도에 따라서 7개 부처에서 안전관리를 담당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ㆍ유전자변형생물체는 그 용도에 따라서 시험·연구용, 농업용·임업용·축산업용(곤충·미생물 포함) 또는 동물의약품용, 산업용, 보건의료용, 환경정화용, 해양·수산용, 식품용 또는 의료기기용으로 구분됩니다.
※ 용도별 유전자변형생물체에 대한 정의는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통합고시(LMO 통합고시)" 제 1-2조에 따릅니다.
시험·연구용 |
시험·연구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연구시설에서 이용되는 유전자변형생물체 |
---|---|
농업용·임업용·축산업용 (곤충·미생물 포함) 또는 동물의약품용 |
농업용·임업용·축산업용(곤충·미생물 포함) 또는 동물의약품용 유전자변형생물체는 ㆍ환경방출로 사용되는 종자용·축산업용(곤충포함) 또는 농업미생물용 유전자변형생물체 ㆍ사료로 사용되거나 사료로 가공하기 위하여 원형 상태로 수입되는 유전자변형생물체 ㆍ비료 및 버섯배지용 등 가공을 목적으로 농업에 사용하기 위하여 원형상태로 수입되는 유전자변형생물체 ㆍ「약사법」 제85조제1항에 따른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소관의 동물용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유전자변형생물체 ㆍ그 밖에 농림축산업용 유전자변형생물체 |
산업용 |
섬유·기계·화학·전자·에너지·자원 등의 산업분야에 이용되는 유전자변형생물체 (시험·연구용, 농림축산업용, 보건의료용, 환경정화용, 해양용·수산용은 제외) |
보건의료용 |
국민의 건강을 보호·증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유전자변형생물체(식품·의료기기용은 제외) |
환경정화용 |
환경오염물질을 감소·제거 시키거나 환경오염에 내성을 가지고 생장함으로써 환경을 복원하는 목적으로 시설물 또는 자연환경에 의도적으로 방출하는 유전자변형생물체 |
해양·수산용 |
해양산업, 수산업 또는 「약사법」 제85조제1항에 따른 해양수산부장관 소관의 동물용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유전자변형생물체 |
식품용 또는 의료기기용 |
국민의 건강을 보호·증진하기 위하여 식품 또는 의료기기 분야에 사용되는 유전자변형생물체 |
◈ 농업·식품 분야
세계 인구는 끊임없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1930년 20억명, 1960년 30억명, 2000년에는 62억에 이르렀으며, UN의 최근 세계인구 전망 보고서(World Population Prospects)에 따르면 현재의 72억 인구는 2050년에 96억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용할 수 있는 농지면적은 한정되어 있으며, 화학비료나 농약사용은 잔류농약 등에 의한 안전성문제도 있어 이러한 방법에 의한 식량증산에는 한계를 보이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육종학자들은 유전자재조합기술을 이용해 새로운 품종의 작물을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세계적으로 콩, 옥수수, 유채, 목화 등의 유전자 변형작물이 상업화되어 있으며, 2013년 27개국에서 재배된 유전자변형작물의 재배면적은 1억 7,530만 ha에 달합니다.
◈ 축산·의료 분야
의학기술의 발전으로 수많은 질병이 정복되고 인류의 수명이 연장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대 의학기술로는 치료할 수 없는 난치성 질환이 존재합니다. 현대 의학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난치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유전자 혹은 유전자변형생물체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사람의 질병연구를 위한 질환모델로서 유전자변형 생쥐와 같은 무수히 많은 실험 동물 개발 및 바이오장기의 생산을 위한 유전자변형동물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밖에도 사람의 단백질, 항체, 호르몬, 의약품과 같은 유용한 물질을 생산하는데 유전자변형동물이 개발되고 있고, 유전자치료제의 일부가 상업화에 성공함으로써 치료제 개발과 관련된 투자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환경·에너지 및 산업 분야
현재 인류는 폭발적인 인구증가와, 도시화, 산업화로 인해 유해 산업폐기물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고, 대기, 수질, 토양에 유출되어 오염이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환경오염물질을 생물학적인 분해 기술인 바이오레미데이션 (Bioremediation)을 이용하여 오염을 제거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석유 자원 고갈 및 이산화탄소 증가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체에너지 생산기술이 관심을 받기 시작하면서 유전자변형생물체를 이용한 바이오에너지 생산과 전환기술 개발에 많은 투자가 되고 있습니다.
또한 전통적인 화학 공정 중에 나타나는 오염 물질을 줄이고, 보다 효율성이 좋은 촉매를 이용해 반응 과정을 축소하는 등 다양한 산업 공정에 유전자변형미생물 또는 그로부터 생산된 효소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유전자변형 기술은 식량 및 식품, 의약, 환경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도움을 주는 기술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1990년대 이후 현재 가장 많이 상업화된 유전자변형식물 그리고 의약, 환경에 가져다 준 혜택은 아래와 같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혜택도 많지만, 유전자변형기술의 이용에 따른 자연생태계나 인체 및 동물에게 미치는 다양한 측면에서의 우려도 많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혜택
ㆍ식품 및 식량 부분
제초제 및 해충저항성을 가진 작물을 재배함으로써 생산량증가와 특정영양분을 강화시킨 LMO 개발을 통하여 식량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현대인에게 결핍되기 쉬운 특정영양분을 제공하는데 활용되고 있습니다.
ㆍ의약부분
인슐린, 비타민, 효소등과 같은 의약물질과 인공장기생산용 동물개발 등을 통하여 난치성질환을 치료하는데 활용되고 있습니다.
ㆍ환경부분
중금속오염, 방사선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 물질을 감소/제거시키거나 환경을 복원하기 위하여 활용되고 있습니다.
◈ 우려
ㆍ인체에 대한 우려
유전자변형 작물로 만든 식품의 섭취를 통해 LMO 제작에 사용된 항생제 내성 유전자가 인체 장내 미생물로 전달되어 항생제 내성이 발생할 수 있으며, 해충저항성 LMO의 Bt 생성물이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ㆍ환경에 대한 우려
특정형질을 나타내는 유전자가 다른 생물체로 이동하여 토종 품종의 손실과 잡초화 가능성이 있으며, 화분을 통한 근연종으로의 유전자 이동성, 비표적 생물체에 대한 영향, 생물다양성 감소와 같은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또한 수입유통에 의한 비의도적인 혼입과 미승인 LMO의 생산 유통과정 중 혼입을 통해 2차 생물·생태계의 교란과 혼입의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1971년 유전자합성의 성공을 계기로 활발히 연구개발 되었으며 1973년 이후부터는 LMO 연구개발 분야(Biotechnology)와 안전관리 분야(Biosafety)로 분화되어 발전 하였습니다.
Time line | ||
---|---|---|
1971년 | 최초로 유전자합성 성공 | |
1972년 | DNA 분리·정제 성공 : 보이어 | |
재조합된 DNA 분자 개발 : 버그 | ||
1973년 | 최초의 유전자변형 E.coil 개발 : 코헨 | |
1973년 이후 | Biotechnology | Biosafety |
출처 : [미래창조과학부 시험ㆍ연구용 LMO정보시스템]을 참조하였습니다.